728x90

저는 도쿄에서 거주중인데요, 도쿄에 있으면 딱히 차가 필요 없습니다. 대중교통이 워낙 잘 되어 있어서, 전철로 못가는곳이 없거든요.

필요할때 렌터카나 쉐어링을 이용하면 딱히 불편함을 못 느낀것도 있고,  뽐뿌를 별로 안받고 살아왔는데..

요즘 갑자기 차 뽐뿌가 ㅋㅋ 그래서 한번 알아봤습니다.

유지비가 얼마나 들까?

일본도 물론 등급에 따라서 세금 보험등 유지비가 달라집니다.

마침 프리우스를 기준으로 조사를 한 일본 페이지가 있어서 번역해봤습니다.


車の維持費は月々いくらかかるのか?プリウスを新車で購入した場合で計算してみた!



이번에 나온 신형 프리우스(1800cc) 인데 참 이뻐졌네요.

가격은 

가장 싼 e그레이드 2,429,018엔 부터 

가장 비싼 a 프리미엄 그레이드 3,199,745엔 까지 폭이 넓군요.

일본에서 요즘 주목받는 차중 한대임에는 틀림이 없습니다.


그럼 유지비는 얼마나 될까요?

5년동안 탄다고 계산했을때의 유지비를 계산한것인데요, 차값은 빼고 순수 유지비만 계산했습니다. 계절 사고등의 변수는 전혀 고려하지 않은 계산이니 참고만 하세요~

보실때 한국과 제도가 다른점이 많이 있는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1.가솔린주행거리를 1년 3000km로 계산했을때
한달주행 250 / 연비 21.28 x 가솔린1리터 130엔
1,527
2.자배척보험
(自賠責保険)
일본에선 자동차를 구매하면 강제로 가입해야하는 최소한의 보험입니다
(3년분39,120円 + 2년분 7,840円)/5년/12개월
1,116
3.자동차세5년탄다고 가정했을때
1년째 29,625円2년째부터39,120円×4
=186,105/5년/12개월
3,102
4.임의보험년간 30170엔/5년/12개월 = 1달 2514엔
운전 경력이나 나이에 따라 많이 달라지는 부분입니다
2,514
5.자동차 중량세에코카 면세로 3년동안 면세、2년분32800엔/5년/12개월547
6.정비1년에 1회 오일교환 6000엔으로 계산
6000/12개월
500
7.차검5년 타는 동안 1회 차검을 받는다고 계산하면 14,091/5년/12월 = 235엔235
8.주차장

일본은 주차장(차고지 증명)이 없으면 자동차를 구입할수 없습니다.
그래서 도로에 불법추자한 차들이 별로 없는건데요
여기의 15000엔은 수도권 변두리쪽 주차요금입니다. 도쿄 주택가라면 20000~30000만엔 정도는 생각해야 합니다 ㅠ

15,000
24,541


한국이랑 젤 차이나는건 아마 주차장인데요. 도쿄 주택가는 2-3만엔

시내 중심가는 보통5만엔 잡아야합니다 ㅋㅋ


주차장을 25000으로 계산했을때  

요즘 환율(2016/7/6 기준 100엔 1,158.99)로 계산하면 29만원 정도군요.

제가 사는 세타가야구에서 주차장을 검색해보니 오.. 2만엔 짜리도 있군요.

그렇지만 세워두기만 해도 35000엔이라.. 여기에 차값까지 더하면..

프리우스 젤 낮은 등급 신차 구매한다고 가정하면, 차값/5년/12개월 = 대략 4만엔


아쉽지만 자동차는 일단 보류해야할듯 합니다. ㅠ

일본은 한국같이 출퇴근에 차를 이용하는것도 임원급 아니면 거의 불가능합니다 ㅋㅋ



728x90
728x90

2018/12 내용추가

요금의 변동이 있어서 링크 추가 합니다.

https://ems.epost.go.kr/front.EmsDeliveryDelivery02.postal


-------------------------------------------------------------------------------------

한국에 있는 친척이 일본으로 물건을 보내주기로 했습니다.

그래서 배송 요금을 검색해봤습니다만,

orz 왜이리 찾기가 어려운지.. ㅠㅠ


구글 검색 상위에 뜨는건 대부분이 일본 우체국이고

그나마 ems는 찾기가 쉬웠지만 일반 국제택배의 항공/선편은 찾는데 한참 걸렸습니다.

위부터 ems, 국제소포(항공), 국제소포(선박) 순 입니다.



EMS

http://www.koreapost.go.kr/kpost/sub/subpage.jsp?contId=010103010700



항공

선박

http://www.koreapost.go.kr/kpost/sub/subpage.jsp?contId=010103010800


일본만 따로 정리해봤습니다. (~10kg)


무게ems(비서류)국제소포(항공)국제소포(선편)
0.5 까지17,90017,100
12,200
0.75 〃18,800
1 〃19,80018,400
1.25 〃21,000
1.5 〃22,10019,800
1.75 〃23,700
2 〃25,20021,100
2.5 〃26,60022,500
16,000
3 〃27,90023,800
3.5 〃29,30025,100
4 〃30,60026,500
4.5 〃31,90027,800
19,600
5 〃33,20028,900
5.5 〃34,60030,300
6 〃35,90031,600
6.5 〃37,20032,900
23,300
7 〃38,40034,300
7.5 〃39,60035,600
8 〃41,00036,900
8.5 〃42,30038,300
27,100
9 〃43,70039,600
9.5 〃45,00041,000
10 〃46,30042,300


일본에서 한국으로 ems 보낼때 1kg가 2,100엔 10kg가 105,000엔 인데.. 굉장히 저렴합니다. (아마 이것도 인상된거)


그리고 국제소포(항공)과 ems의 요금차이가 거의 없는것도 눈에 띄네요.

10kg 보낼때 4,000원 밖에 차이가 안나는군요...


물론 가장 저렴한건 선박!


일반적인 상황이면 ems를 이용하는게 편할듯합니다.


2016년에 선박으로 보낸 물건이 빠르면 2주 늦어도 3주 정도에는 도착했던거 같습니다.

무게가 많이 나가고 급하지 않은 경우에는 선박도 나쁘지 않을꺼 같아요.

728x90
728x90

일본은 얼마전부터 본격적으로 장마가 시작되었습니다.

장마 시작 이후로 기온은 그닥 높지 않아서 25-28정도인데요, 습도가.. ㅠ

습도가 높아서 집안에서 조금만 움직여도 땀나고.. 더워지네요.


에어컨을 켜면 습도가 조금 떨어지기는 하는데, 온도를 낮추지 않으면 습도도 안떨어지니,, 틀면 춥고, 안틀면 꿉꿉하고. 


에어컨을 제습모드로 켜도 습도가 많이 안떨어지고..


이것저것 검색해보니 제습기를 절대 사지 말라고 하는 글도 많이 보입니다


제습기를 구입하지 마세요 http://joonnoh.com/blog/2127

제습기를 구입하지 마세요2 제습기 구입기

https://joonnoh.net/2013/07/14/


이러한 글들을 보면 제습기와 에어컨은 같은 원리인데, 제습기는 실외기를 합쳐놓은것 뿐이라는 글들이 많더라구요.


참고로 에어컨의 원리는 냉매로 공기를 식혀서 물은 배출하고 차가워진 공기를 다시 넣어주는 방식입니다.

얼음물이 들은 컵을 더운날 상온에 두면 컵 주위로 물방울이 생기는 원리와 같습니다.


출처 http://mameknowledge.com/1583.html


그런데, 제습기는 다른 방식도 존재합니다


1 데시칸트 건조제로 공기 중 수분을 흡수하고 이를 히터로 기화시키는 데시칸트 방식은 작고 가벼운 것이 장점. 뜨거운 공기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여름보다는 겨울철 결로를 제거할 때 제격이며, 일정 기간마다 건조제를 교체해 제습력이 떨어지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2 컴프레서 두 개의 냉각판을 이용해 열 교환을 하며 공기 중 습기를 물방울로 바꾸는 방식.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도 제습 효율이 좋아서 국내 출시되는 대부분의 제습기가 이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단, 18℃ 이하의 낮은 온도에서는 제습력이 떨어지므로 겨울보다 여름철에 적합하다. 

-> 이게 에어컨과 같은 방식. 냉장고도 결국 마찬가지입니다~


3 하이브리드 여름에는 컴프레서, 겨울에는 데시칸트 방식으로 작동해 사계절 내내 사용할 수 있지만 제품이 크고 무거운 데다 가격이 비싸다는 것이 단점. 국내에는 아직 출시된 모델이 없다. 


4 콘덴스 건조제와 히터를 탑재했다는 점에서 데시칸트와 비슷해 보이지만 열 교환기와 팬 등으로 기존 단점을 보완한 방식이다. 가볍고 조용하며 발열 온도가 낮고, 위생적인 면도 강화해 사계절 사용할 수 있지만 컴프레서 방식보다 소비 전력과 가격이 높은 것이 흠이다. 




데시칸트식 제습기가 있네요~

(하이브리드와 콘덴스는 비싸서 패스)

데시칸트식의 장점은 작고 가볍고, 컴프레셔 방식보다 조용합니다. 낮은 온도에서도 제습력이 좋습니다.

물론 단점도 존재하는데, 컴프레셔 방식보다 전력 소모가 많고, 실내 온도가 올라간다는 점입니다.

여름, 장마철만 쓸꺼면 컴프레셔 방식이 괜찮은거죠.

근데 저는 왜 데시칸트 방식이 땡기는건지 ㅋㅋ

암튼 이 두가지를 놓고 고민중입니다.

일본에서 (아마도) 가장 잘 팔리는 모델(카카쿠 기준)은 데시칸트 방식이네요

F-YZM60-W [ホワイト]







조만간 결정되면 후기 올리겠습니다!!




728x90
728x90

지난 글에서 가족체제비자의 필요한 서류에 대해서 적었는데요, 이번에는 서울에 있는 일본 대사관에 가는 법에 대해서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홈페이지에 있는 소개 페이지 입니다.


주소 : 우편번호 03142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A동 8층


http://www.kr.emb-japan.go.jp/visa/visa_ryoji.html






지하철을 이용하면 가장 가까운역이 3호선 안국역입니다


6번출구로 나오시면 되구요~


알기쉽게 구글지도로 보면 이렇습니다




6번출구로 나와서 큰길을 따라서 쭉 가다보면 인사동 입구가 있구요. 지나서 가다보면 왼쪽에 큰 빌딩이 보입니다.



여기가 트윈타워B 조금 더 가면 트윈타워A 빌딩이 보이구요. 

들어가서 엘레베이터 타고 올라가시면 됩니다~


구글지도에는 예전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거 같구요. 얼마전에 트윈타워B동으로 이동한거 같습니다.


1층에 think coffee 라는 커피숍이 있는데요~ 커피도 맛나고 분위기도 좋아서

저는 근처에 갈때마다 커피 한잔씩 하고 가는 카페 입니다. :)










728x90
728x90

지난주 토요일 5/28 일본에서 발매했던 조던12 플루게임입니다.

공홈에서 구매했는데 이제서야 도착했네요.




전체샷


가죽 퀄리티가 상당히 괜찮습니다.


검정색의 카본도 마음에 드는군요.

역시 조던12는 검정색베이스가 묵직한 느낌도 있고 괜찮은거 같습니다. :)


728x90
728x90

일본에서 체류하면서 가족이 늘었을때 가족을 비자를 발급 받아야합니다.

가족체제비자 (가족체재 재류자격인정서)

저도 이번에 아이가 생기면서 비자를 받았습니다.

일본에서도 발급이 가능하지만 2-3개월 정도 걸린다고해서 많은 분들이 한국에서의 발급을 추천하고 있습니다.

저도 한국에서 발급을 받았는데, 인터넷상에 정보들이 너무 많아서 혼란스러웠네요.

그래서 한번 정리해봅니다.


주한국 일본대사관 http://www.kr.emb-japan.go.jp/visa/visa_sonota.html


필수 준비 서류

1.신청서 1부

->대사관 페이지에 pdf 파일의 링크가 있는데, pdf에 입력하셔서 프린트하면 편합니다.

작성시 주의할점은 두번째장의 신청인 서명란에 

"아기이름 관계 부모이름 대필" 이런식으로 적어야합니다

예) 김아기 부 김아빠 대필



체류 예정기간은 5년을 썼는데 한번에 5년 비자가 나왔습니다.


2.여권

->신청자, 아기의 여권


3.사진 1매 (가로 4.5㎝×세로4.5㎝ / 가로3.5㎝×세로4.5㎝) 

->여권사진으로 가능합니다


추가 서류

○ 가족체재 (일본에 취업자격 등으로 체류하고 있는 자의 배우자 및 부양을 받는 자녀)

① 일본에 체류하고 있는 자의 재직증명서

② 소득증명서 

 ->직장인이라면 원천징수표

③ 주민표 (기재사항의 생략이 없는 것)
->본인 뿐만이 아니라 가족 구성원 전부가 나와있는것을 받도록 합시다.

④ 재류카드 (외국인등록증명서)의 양면복사

⑤ 친족관계를 명확히 하는 문서(가족관계증명서 등)

⑥ 주민등록등본 등(거주지확인을 위해) 등


제가 추가로 준비한 서류

일본 대사관은 왠지 불친절하기 때문에 한번에 못 받으면 상당한 스트레스..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서류는 다 준비해서 가는것이 좋습니다.

일본법무성 해당 페이지

- 住民税の課税(又は非課税)証明書及び納税証明書

전년도 세금 기록이기때문에 작년 1월1일에 살고있던 곳의 구약쇼에서만 발행이 가능합니다(또는 우편 신청). 참 불편하죠..


다음 글에서는 비자 신청하러 가는길을 한번 알아볼까요?

주대한민국일본대사관 영사부 가는법

728x90

+ Recent posts